20) 21劃 姓 顧(고) : 돌아보다, 응시하다, 마음에 새기다, 반성하다 藤(등) : 등나무 隨(수) : 따르다, 맡기다, 허락하다, 거느리다 鶴(학) : 학, 두루미, 희다 ※ 획수계산방식에 있어서 다수론과 소수론+원형이정+삼원오행을 모두 만족시키는 획수들입니다. 소수론과 삼원오행을 제외하면 더 많은 획수들이 가능하고,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소수론과 삼원오행에 대해서는 의구점을 제기하기도 합니다. 姓 획수 이름 첫자 획수 이름 끝자 획수 사격(四格) 삼원오행 길흉 원 (초년) 형 (중년) 이 (말년) 정 (총운) 21 2 14 16 23 35 37 木火土136 O 21 3 8 11 24 29 32 木火木141 O 21 8 3 11 29 24 32 木水木191 O 21 8 10 18 29 31 39 ..
19) 20劃 姓 羅(나) : 새 그물, 그물질하다, 비단, 늘어서다, 두르다 釋(석) : 풀다, 풀리다, 내버리다 嚴(엄) : 엄하다, 급하다, 임박하다 還(환) : 돌아오다, 복귀하다 曦(희) : 햇빛, 일광 鮮于(선우) : 복자성씨 夏候(하후) : 복자성씨 ※ 획수계산방식에 있어서 다수론과 소수론+원형이정+삼원오행을 모두 만족시키는 획수들입니다. 소수론과 삼원오행을 제외하면 더 많은 획수들이 가능하고,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소수론과 삼원오행에 대해서는 의구점을 제기하기도 합니다. 姓 획수 이름 첫자 획수 이름 끝자 획수 사격(四格) 삼원오행 길흉 원 (초년) 형 (중년) 이 (말년) 정 (총운) 20 1 12 13 21 32 33 水木火013 O 20 9 9 18 29 29 38 水水金098 O 2..
18) 19劃 姓 疆(강) : 지경, 끝, 한계, 밭두둑 關(관) : 빗장, 기관, 자동장치. 닫다, 잠그다 譚(담) : 이야기, 느릿하다, 크다 離(리) : 떼놓다, 끊다, 가르다, 나누다, 떠나가다 龐(방) : 성씨, 크다, 높다, 어지럽다 薛(설) : 맑은대쑥, 향부자 鄭(정) : 나라이름, 겹치다 古爾(고이) : 복자성씨 南宮(남궁) : 복자성씨 再會(재회) : 복자성씨 ※ 획수계산방식에 있어서 다수론과 소수론+원형이정+삼원오행을 모두 만족시키는 획수들입니다. 소수론과 삼원오행을 제외하면 더 많은 획수들이 가능하고,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소수론과 삼원오행에 대해서는 의구점을 제기하기도 합니다. 姓 획수 이름 첫자 획수 이름 끝자 획수 사격(四格) 삼원오행 길흉 원 (초년) 형 (중년) 이 (말년)..
17) 18劃 姓 簡(간) : 대쪽, 글, 편지 瞿(구) : 보다, 의심하여 사방을 살피다 歸(귀) : 돌아가다 蕃(번) : 우거지다, 늘다, 많다 顔(안) : 얼굴, 낯, 안면, 표정, 체면 禮(예) : 예절, 예도 魏(위) : 나라이름, 높다, 대궐 鞦(추) : 그네 鎬(호) : 호경, 빛나는 모양, 냄비 ※ 획수계산방식에 있어서 다수론과 소수론+원형이정+삼원오행을 모두 만족시키는 획수들입니다. 소수론과 삼원오행을 제외하면 더 많은 획수들이 가능하고,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소수론과 삼원오행에 대해서는 의구점을 제기하기도 합니다. 姓 획수 이름 첫자 획수 이름 끝자 획수 사격(四格) 삼원오행 길흉 원 (초년) 형 (중년) 이 (말년) 정 (총운) 18 7 6 13 25 24 31 金土火853 O 18 ..
16) 17劃 姓 鞠(국) : 공, 축국, 기르다, 궁하다 戴(대) : 이다, 머리위에 올려놓다, 느끼다, 생각하다 獨(독) : 홀로, 홀몸 彌(미) : 두루, 널리, 오래다, 그치다 謝(사) : 사례하다, 사죄하다, 용서를 빌다, 물러나다 鮮(선) : 곱다, 뚜렷하다, 깨끗하다 遜(손) : 겸손하다, 몸을 낮추다, 사양하다, 양보하다, 따르다 陽(양) : 볕, 양지, 밝다 襄(양) : 돕다, 조력하다, 오르다, 우러르다 蓮(연) : 연밥, 연실 濂(렴) : 엷다, 싱겁다, 내이름 蔣(장) : 줄, 진고, 격려하다, 깔개, 자리 鍾(종) : 종, 쇠북, 시계 蔡(채) : 거북, 티끌, 풀 숲 聰(총) : 귀가 밝다, 총명하다, 듣다 燭(촉) : 촛불, 등불 鄒(추) : 나라이름 澤(택) : 못, 늪, 윤..
14) 15劃 姓 價(가) : 값, 수 葛(갈) : 칡, 덩굴 慶(경) : 경사, 축하하다 郭(곽) : 성곽, 둘레 廣(광) : 넓다, 넓이 歐(구) : 노래하다, 토하다, 치다, 때리다 鴌(궉) : 꿩, 봉새 魯(노) : 나라이름, 노둔하다, 미련하다 德(덕) : 덕, 공덕, 은혜 董(동) : 감독하다, 거두다, 굳다, 견고하다 樓(루) : 다락, 망루, 겹치다, 포개다 萬(만) : 일만, 다수, 크다 滿(만) : 차다, 가득하다, 곡식이 익다 墨(묵) : 먹, 형벌이름 葉(섭) : 고을이름 葉(엽) : 잎, 뽕나무, 가지 劉(유) : 도끼, 죽이다, 베풀다, 이기다 彈(탄) : 탄알, 포탄, 열매, 과실 標(표) : 표할, 우듬지 漢(한) : 한나라 望切(망절) : 복자성씨 司馬(사마) : 복자성씨 ..
13) 14劃 姓 菊(국) : 국화 箕(기) ; 키, 삼태기, 쓰레받기 裵(배) : 성씨, 옷이 치렁치렁하다. 鳳(봉) ; 봉황, 산 이름 賓(빈) ; 손님, 사위, 대접하다. 碩(석) ; 크다, 차다, 충실하다, 단단하다. 愼(신) : 삼가다, 근신하다, 두려워하다. 連(연) : 이어지다, 연속하다, 관련되다. 温(온) ; 따뜻하다, 부드럽다, 온화하다. 慈(자) ; 사랑, 자비, 인정, 동정, 어머니. 趙(조) : 나라, 찌르다. 齊(제) : 가지런하다, 단정하다, 질서 정연하다. 菜(채) : 나물, 술안주, 반찬. ※ 획수계산방식에 있어서 다수론과 소수론+원형이정+삼원오행을 모두 만족시키는 획수들입니다. 소수론과 삼원오행을 제외하면 더 많은 획수들이 가능하고,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소수론과 삼원오행..
12) 13劃 姓 賈(가) : 값, 앉은장사, 상인 敬(경) : 공경하다, 훈계하다, 예의가 바르다 琴(금) : 거문고 頓(돈) : 조아리다, 넘어지다, 부서지다, 깨지다 路(로) : 길, 겪는 일 雷(뢰) : 우레, 천둥 廉(렴) : 청렴하다, 검소하다 睦(목) : 화목하다, 공손하다 楔(설) : 기둥, 문설주, 쐐기 新(신) : 새, 새로운, 처음 阿(아) : 언덕, 구석, 산비탈 楊(양): 버들, 버드나무 雍(옹) : 누그러지다, 온화해지다, 기뻐하다, 막다, 메우다 虞(우) : 헤아리다, 염려하다 郁(욱) : 성하다, 향기롭다 慈(자) : 사랑, 사랑하다 莊(장) : 씩씩하다, 풀이 성한모양 楚(초) : 모형, 가시나무, 회초리, 아프다, 우거진 모양, 나라이름 椿(춘) : 참죽나무 湯(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