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15劃 姓
價(가) : 값, 수 葛(갈) : 칡, 덩굴 慶(경) : 경사, 축하하다 郭(곽) : 성곽, 둘레 廣(광) : 넓다, 넓이 歐(구) : 노래하다, 토하다, 치다, 때리다 鴌(궉) : 꿩, 봉새 魯(노) : 나라이름, 노둔하다, 미련하다 德(덕) : 덕, 공덕, 은혜 董(동) : 감독하다, 거두다, 굳다, 견고하다 樓(루) : 다락, 망루, 겹치다, 포개다 萬(만) : 일만, 다수, 크다 滿(만) : 차다, 가득하다, 곡식이 익다 墨(묵) : 먹, 형벌이름 葉(섭) : 고을이름 葉(엽) : 잎, 뽕나무, 가지 劉(유) : 도끼, 죽이다, 베풀다, 이기다 彈(탄) : 탄알, 포탄, 열매, 과실 標(표) : 표할, 우듬지 漢(한) : 한나라 望切(망절) : 복자성씨 司馬(사마) : 복자성씨 仲室(중실) : 복자성씨 長谷(장곡) : 복자성씨 |
※획수계산방식에 있어서 다수론과 소수론+원형이정+삼원오행을 모두 만족시키는 획수들입니다.
소수론과 삼원오행을 제외하면 더 많은 획수들이 가능하고,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소수론과 삼원오행에 대해서는 의구점을 제기하기도 합니다.
姓 획수 |
이름 첫자 획수 |
이름 끝자 획수 |
사격(四格) |
삼원오행 |
길흉 |
|||
원 (초년) |
형 (중년) |
이 (말년) |
정 (총운) |
|||||
15 |
1 |
2 |
3 |
16 |
17 |
18 |
土土火563 |
O |
15 |
1 |
16 |
17 |
16 |
31 |
32 |
土土金567 |
O |
15 |
1 |
22 |
23 |
16 |
37 |
38 |
土土火563 |
O |
15 |
2 |
6 |
8 |
17 |
21 |
23 |
土金金578 |
O |
15 |
2 |
14 |
16 |
17 |
29 |
31 |
土金土576 |
O |
15 |
2 |
16 |
18 |
17 |
31 |
33 |
土金金578 |
O |
15 |
8 |
8 |
16 |
23 |
23 |
31 |
土火土536 |
O |
15 |
8 |
16 |
24 |
23 |
31 |
39 |
土火火534 |
O |
15 |
8 |
24 |
32 |
23 |
39 |
47 |
土火木532 |
O |
15 |
9 |
14 |
23 |
24 |
29 |
38 |
土火火543 |
O |
15 |
9 |
23 |
32 |
24 |
38 |
47 |
土火木542 |
O |
15 |
9 |
24 |
33 |
24 |
39 |
48 |
土火火543 |
O |
15 |
10 |
8 |
18 |
25 |
23 |
33 |
土土金558 |
O |
15 |
10 |
14 |
24 |
25 |
29 |
39 |
土土火554 |
O |
15 |
10 |
23 |
33 |
25 |
38 |
48 |
土土火553 |
O |
15 |
18 |
6 |
24 |
33 |
21 |
39 |
土火火534 |
O |
15 |
20 |
3 |
23 |
35 |
18 |
38 |
土土火553 |
O |
15 |
20 |
17 |
37 |
35 |
32 |
52 |
土土金557 |
O |
15 |
23 |
14 |
37 |
38 |
29 |
52 |
土金金587 |
O |
'작명 > 성씨의 획수에 따른 사용가능한 획수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혜가철학원 | 창원마산진해철학관 | 18획 성(姓) | 작명 (0) | 2020.02.13 |
---|---|
혜가철학원 | 창원마산진해철학관 | 17획 성(姓) | 작명 (0) | 2020.02.13 |
혜가철학원 | 창원마산진해철학관 | 14획 성(姓) | 작명 (0) | 2020.02.13 |
혜가철학원 | 창원마산진해철학관 | 13획 성(姓) | 작명 (0) | 2020.02.13 |
혜가철학원 | 창원마산진해철학관 | 12획 성(姓) | 작명 (0) | 2020.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