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본인들이 직접 작명을 하시고 싶어 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참고 하시라고 아래의 카테고리에 자료들을 준비했습니다. 그 순서대로만 맞추어서 지어도 나쁘다는 소리는 듣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단, 자원오행은 본인들이 맞추기 힘드실 수도 있습니다.
1. 일단 성이 정해지면 그 뒤에 올 수 있는 한글발음과 한자의 획수가 정해집니다.
즉, 각자의 성에 따라 쓸 수 있는 한자의 획수가 정해지면, 그 획수의 범위 내에서 자신의 성과 상생인 한글발음의 한자를 고르시면 됩니다.
2. 아래의 자료에 올라와 있는 각 성에 따른 한자의 획수는 획수계산방식에 있어서 다수론과 소수론을 모두 만족시키는 교집합적인 획수입니다. 따라서 거의 99%가 사용하는 다수론에 따르면 더 많은 획수가 가능합니다.
거기에다가 삼원오행을 만족시키는 획수로 한번 더 걸렀기 때문에 작명에 사용할 수 있는 획수가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하지만 한번 더 생각하면 이 쪽 저 쪽을 모두 만족시키는 획수라 안전하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3. 자원오행은 사주상 부족한 기운을 보충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는 것인데 이 부분이 일반인에게는 조금 애매하실 수도 있습니다.
4. 81획수 수리설명은 단일한 것이 아니라 이곳 저곳의 자료를 정리하여 올렸습니다.
그래서 중복적인 설명이 많습니다.
5. 획수를 선택하실 때 여자에게는 안좋다는 설명이 있는 획수들도 많습니다. 약간 옛날 기준의 설명일 수도 있고, 자기 일을 하는 여자에게는 해당이 안되고 일반가정주부일 경우에만 해당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자신의 사주 자체내에 부부불화의 암시가 강한 경우에는 가급적 자제하는 것이 좋고, 사주 자체가 부부화목한 경우에는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