字源五行(자원오행)
한자는 글자마마다 각기 고유의 오행이 따로 있는데 이를 자원오행이라고 합니다.
주로 한자의 부수나 중심 뜻을 가지고 정하는데 가령 言(말씀 언)의 자원오행은 金입니다. 그래서 言 이 부수로 들어가는 글자는 대부분 자원오행이 金입니다.(예; 設 베풀 설 說 말씀 설)
人(사람 인)은 자원오행이 火입니다. 따라서 人이 부수로 들어가는 글자들은 자원오행이 火입니다.(예; 伸 펼 신, 信 믿을 신 )
자원오행을 쓰는 이유는 그 사람의 사주에서 부족하거나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특정한 음양오행의 기운을 이름에 집어넣음으로써 그 사람의 인생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다 | 단 | 달 |
획수, 자원오행 ; 한자 뜻 발음 6, 水 ; 多 많을 다 6, 水 ; 夛 많을 다
10, 木 ; 爹 아버지 다/아비 다
12, 木 ; 茶 차 다, 차 차 12, 木 ; 茤 마름 다
|
획수, 자원오행 ; 한자 뜻 발음 4, 木 ; 丹 붉을 단, 정성스러울 란(난)
5, 火 ; 旦 아침 단
7, 火 ; 但 다만 단, 거짓 탄
9, 火 ; 彖 판단할 단, 돌 시 9, 火 ; 㫜 밝을 단 9, 金 ; 段 층계 단
11, 木 ; 袒 웃통 벗을 단, 터질 탄 11, 水 ; 蛋 새알 단
12, 金 ; 短 짧을 단 12, 水 ; 單 홑 단, 오랑캐 이름 선
13, 火 ; 煓 불꽃 성할 단 13, 土 ; 亶 믿음 단, 머뭇거릴 전, 산 이름 선 13, 水 ; 湍 여울 단
14, 金 ; 端 끝 단, 헐떡일 천, 홀 전 14, 水 ; 團 둥글 단/경단 단
15, 木 ; 緞 비단 단
16, 土 ; 壇 단 단, 평탄할 탄, 소제할 선
17, 木 ; 檀 박달나무 단 17, 金 ; 鍛 불릴 단
18, 木 ; 簞 소쿠리 단 18, 金 ; 斷 끊을 단
19, 土 ; 鄲 조나라 서울 단 |
획수, 자원오행 ; 한자 뜻 발음 10, 水 ; 疸 황달 달
16, 土 ; 達 통달할 달
17, 木 ; 撻 때릴 달 17, 水 ; 澾 미끄러울 달
20, 土 ; 獺 수달 달, 수달 랄(날)
|
담 | 답 | 당 |
획수, 자원오행 ; 한자 뜻 발음 7, 土 ; 坍 무너질 담, 무너질 단
10, 火 ; 倓 고요할 담
11, 火 ; 聃 귓바퀴 없을 담 11, 水 ; 啖 씹을 담
12, 金 ; 覃 깊을 담, 날이 설 염 12, 水 ; 淡 맑을 담, 질펀히 흐를 염
13, 水 ; 湛 괼 담, 잠길 침, 맑을 잠, 담글 점, 장마 음 13, 水 ; 痰 가래 담
15, 金 ; 談 말씀 담
16, 火 ; 曇 흐릴 담 16, 金 ; 錟 창 담, 날카로울 섬, 서슬 염 16, 水 ; 潭 못 담, 물가 심
17, 木 ; 擔 멜 담 17, 火 ; 憺 참담할 담 17, 水 ; 澹 맑을 담, 넉넉할 섬
18, 木 ; 蕁 지모 담, 지모 심
19, 金 ; 譚 클 담/말씀 담 19, 水 ; 膽 쓸개 담 |
획수, 자원오행 ; 한자 뜻 발음 8, 水 ; 沓 겹칠 답
9, 土 ; 畓 논 답
12, 木 ; 答 대답 답
15, 土 ; 踏 밟을 답
17, 土 ; 遝 뒤섞일 답
|
획수, 자원오행 ; 한자 뜻 발음 10, 水 ; 唐 당나라 당/당황할 당
11, 土 ; 堂 집 당
12, 木 ; 棠 아가위 당
13, 土 ; 塘 못 당 13, 土 ; 當 마땅 당
15, 木 ; 幢 기 당, 드리워진 모양 동
16, 木 ; 糖 엿 당, 엿 탕 16, 木 ; 撞 칠 당
17, 水 ; 螳 버마재비 당/사마귀 당
20, 水 ; 黨 무리 당
21, 金 ; 鐺 쇠사슬 당, 솥 쟁
28, 火 ; 戇 어리석을 당
|
대 | 댁 | 덕 |
획수, 자원오행 ; 한자 뜻 발음 3, 木 ; 大 클 대/큰 대, 클 태, 클 다
5, 火 ; 代 대신할 대
7, 火 ; 旲 햇빛 대, 클 영
8, 土 ; 垈 집터 대 8, 土 ; 岱 대산 대 8, 土 ; 坮 대 대
9, 木 ; 抬 들 대, 매질할 태 9, 火 ; 待 기다릴 대
10, 金 ; 玳 대모 대
11, 木 ; 帶 띠 대 11, 木 ; 袋 자루 대
12, 金 ; 貸 빌릴 대/꿀 대, 틀릴 특
14, 木 ; 對 대할 대 14, 土 ; 臺 대 대
17, 土; 隊 무리 대, 떨어질 추, 길 수 17, 水 ; 黛 눈썹먹 대
18, 木 ; 擡 들 대 18, 金 ; 戴 일 대 |
획수, 자원오행 ; 한자 뜻 발음 6, 木 ; 宅댁 댁, 집 택, 터질 탁
|
획수, 자원오행 ; 한자 뜻 발음 12, 火 ; 悳 큰 덕/덕 덕
14, 火 ; 徳 큰 덕/덕 덕
15, 火 ; 德 큰 덕/덕 덕
|
도 | 독 | 돈 |
획수, 자원오행 ; 한자 뜻 발음 2, 金 ; 刀 칼 도
8, 金 ; 到 이를 도
9, 木 ; 度 법도 도, 헤아릴 탁, 살 택
10, 木 ; 挑 돋울 도 10, 木 ; 桃 복숭아 도 10, 火 ; 倒 넘어질 도 10, 火 ; 徒 무리 도 10, 土 ; 島 섬 도 12, 木 ; 棹 노 도, 책상 탁 12, 木 ; 掉 흔들 도 12, 火 ; 悼 슬퍼할 도 12, 土 ; 堵 담 도, 강 이름 자 12, 金 ; 盜 도둑 도 12, 水 ; 屠 죽일 도, 흉노 왕의 칭호 저 12, 水 ; 淘 쌀 일 도
13, 土 ; 塗 칠할 도/길 도 13, 土 ; 逃 도망할 도 13, 土 ; 跳 뛸 도, 뛸 조 13, 水 ; 渡 건널 도
14, 木 ; 萄 포도 도 14, 木 ; 搗 찧을 도 14, 木 ; 睹 볼 도 14, 土 ; 途 길 도 14, 土 ; 嶋 섬 도 14, 水 ; 圖 그림 도 14, 水 ; 滔 물 넘칠 도
15, 木 ; 稻 벼 도
16, 木 ; 馟 향기로울 도 16, 火 ; 覩 볼 도 16, 土 ; 道 길 도 16, 土 ; 導 인도할 도 16, 土 ; 陶 질그릇 도, 사람 이름 요 16, 土 ; 都 도읍 도, 못 지 16, 金 ; 賭 내기 도
17, 土 ; 蹈 밟을 도, 슬퍼할 신 17, 金 ; 鍍 도금할 도
18, 木 ; 櫂 노 도 18, 火 ; 燾 비칠 도 18, 水 ; 濤 물결 도, 조수 주
19, 木 ; 禱 빌 도 19, 金 ; 韜 감출 도/활집 도 |
획수, 자원오행 ; 한자 뜻 발음 7, 木 ; 禿 대머리 독
8, 土 ; 毒 독 독, 거북 대
13, 木 ; 督 감독할 독
16, 木 ; 篤 도타울 독
17, 土 ; 獨 홀로 독
19, 木 ; 牘 서찰 독 19, 土 ; 犢 송아지 독 19, 水 ; 瀆 도랑 독/더럽힐 독, 구멍 두
22, 金 ; 讀 읽을 독, 구절 두
25, 木 ; 纛 기 독, 기
|
획수, 자원오행 ; 한자 뜻 발음 8, 火 ; 旽 밝을 돈 8, 水 ; 沌 엉길 돈, 내 이름 전
11, 水 ; 豚 돼지 돈
12, 火 ; 惇 도타울 돈 12, 火 ; 焞 귀갑 지지는 불 돈, 성할 퇴, 밝을 순 12, 金 ; 敦 도타울 돈, 다스릴 퇴, 제기 대, 모일 단, 아로새길 조, 덮을 도
13, 火 ; 頓 조아릴 돈, 둔할 둔, 흉노 왕 이름 돌
15, 土 ; 墩 돈대 돈
16, 火 ; 燉 불빛 돈 16, 火 ; 暾 아침 해 돈
|
돌 | 동 | 두 |
획수, 자원오행 ; 한자 뜻 발음 6, 金 ; 乭 이름 돌
9, 水 ; 突 갑자기 돌
|
획수, 자원오행 ; 한자 뜻 발음 5, 火 ; 仝 한가지 동 5, 水; 冬 겨울 동/북소리 동
6, 水 ; 同 한가지 동
7, 火 ; 彤 붉을 동
8, 木 ; 東 동녘 동
9, 土 ; 垌 항아리 동
10, 木 ; 桐 오동나무 동 10, 火 ; 烔 뜨거운 모양 동 10, 水 ; 凍 얼 동 10, 水 ; 洞 골 동, 밝을 통 10, 水 ; 疼 아플 동, 아플 등
11, 土 ; 動 움직일 동
12, 木 ; 棟 마룻대 동 12, 金 ; 童 아이 동, 땅 이름 종 12, 水 ; 胴 큰창자 동/몸통 동
14, 金 ; 銅 구리 동 14, 水 ; 蝀 무지개 동
15, 木 ; 董 감독할 동, 짧을 종, 바로잡을 독
16, 木 ; 橦 나무 이름 동, 병거충, 장대 장 16, 火 ; 憧 동경할 동/어리석을 동 16, 火 ; 曈 동틀 동 16, 水 ; 潼 물 이름 동, 끈적끈적할 종 16, 水 ; 膧 달 뜰 동
17, 木 ; 瞳 눈동자 동 |
획수, 자원오행 ; 한자 뜻 발음 4, 火 ; 斗 말 두/싸울 두, 싸울 투, 싸울 각
7, 木 ; 杜 막을 두 7, 木 ; 豆 콩 두
8, 木 ; 枓 두공 두, 구기 주
11, 木 ; 兜 투구 두, 도솔천 도
12, 水 ; 痘 역질 두 12, 土 ; 阧 치솟을 두
13, 木 ; 荳 콩 두
14, 土 ; 逗 머무를 두
16, 火 ; 頭 머리 두
20, 水 ; 竇 구멍 두, 개천 독
22, 金 ; 讀 구절 두, 읽을 독
|
둔 | 둘 | 둑 |
획수, 자원오행 ; 한자 뜻 발음 4, 木 ; 屯 진칠 둔, 어려울 준
10, 木 ; 芚 싹 나올 둔, 어리석을 춘
12, 金 ; 鈍 둔할 둔
16, 土 ; 遁 숨을 둔, 뒷걸음칠 준
18, 土 ; 遯 달아날 둔
19, 水 ; 臀 볼기 둔 |
획수, 자원오행 ; 한자 뜻 발음 5, 木 ; 乧 음역자 둘
|
획수, 자원오행 ; 한자 뜻 발음 11, 火 ; 得 얻을 득
|
등 |
획수, 자원오행 ; 한자 뜻 발음 12, 木 ; 等 무리 등 12, 水 ; 登 오를 등
15, 土 ; 嶝 고개 등
16, 木 ; 橙 귤 등/걸상 등 16, 火 ; 燈 등 등
17, 金 ; 謄 베낄 등
19, 土 ; 鄧 나라 이름 등
20, 火 ; 騰 오를 등
21, 木 ; 藤 등나무 등 |
'작명 > 인명용 한자(발음별 정리+자원오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혜가철학원 | 창원마산진해철학관 | 인명용 한자(ㅂ) | 작명 | 자원오행 (0) | 2020.02.15 |
---|---|
혜가철학원 | 창원마산진해철학관 | 인명용 한자(ㅁ) | 작명 | 자원오행 (0) | 2020.02.15 |
혜가철학원 | 창원마산진해철학관 | 인명용 한자(ㄹ) | 작명 | 자원오행 (0) | 2020.02.15 |
혜가철학원 | 창원마산진해철학관 | 인명용 한자(ㄴ) | 작명 | 자원오행 (0) | 2020.02.14 |
혜가철학원 | 창원마산진해철학관 | 인명용한자(ㄱ) | 작명 | 자원오행 (1) | 2020.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