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혜가 철학원(慧家 哲學院)

wisdom-house (慧家)

혜가철학원 | 창원마산진해철학관 | 인명용 한자(25획, 26획, 27획) | 작명 | 자원오행

字源五行(자원오행)

한자는 글자마마다 각기 고유의 오행이 따로 있는데 이를 자원오행이라고 합니다.

주로 한자의 부수나 중심 뜻을 가지고 정하는데 가령 言(말씀 언)의 자원오행은 金입니다. 그래서 言 이 부수로 들어가는 글자는 대부분 자원오행이 金입니다.(예; 設 베풀 설 說 말씀 설)

人(사람 인)은 자원오행이 火입니다. 따라서 人이 부수로 들어가는 글자들은 자원오행이 火입니다.(예; 伸 펼 신, 信 믿을 신 )

자원오행을 쓰는 이유는 그 사람의 사주에서 부족하거나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특정한 음양오행의 기운을 이름에 집어넣음으로써 그 사람의 인생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획수, 자원오행 ; 발음 뜻 획수

25, 木 ; 羈 굴레 기/나그네 기

25, 木 ; 纛 기 독, 기 도

25, 木 ; 蘿 쑥 라(나)

25, 木 ; 欖 감람나무 람(남)

25, 木 ; 攬 가질 람(남)

25, 木 ; 籬 울타리 리(이)

25, 木 ; 纘 이을 찬

25, 木 ; 廳 관청 청

 

25, 火 ; 觀 볼 관

 

25, 水 ; 蠻 오랑캐 만

25, 水 ; 鼈 자라 별

25, 水 ; 灝 넓을 호

획수, 자원오행 ; 발음 뜻 획수

26, 火 ; 驢 당나귀 려(여)

 

26, 土 ; 邏 순라 라(나)

 

26, 金 ; 讚 기릴 찬

 

26, 水 ; 灣 물굽이 만,

             물에 적셨다 말릴 탄

 

 

 

 

 

 

획수, 자원오행 ; 발음 뜻 획수

27, 木 ; 纜 닻줄 람(남)

 

27, 火 ; 驥 천리마 기

 

27, 土 ; 躪 짓밟을 린(인)

 

27, 金 ; 鑽 뚫을 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