字源五行(자원오행)
한자는 글자마마다 각기 고유의 오행이 따로 있는데 이를 자원오행이라고 합니다.
주로 한자의 부수나 중심 뜻을 가지고 정하는데 가령 言(말씀 언)의 자원오행은 金입니다. 그래서 言 이 부수로 들어가는 글자는 대부분 자원오행이 金입니다.(예; 設 베풀 설 說 말씀 설)
人(사람 인)은 자원오행이 火입니다. 따라서 人이 부수로 들어가는 글자들은 자원오행이 火입니다.(예; 伸 펼 신, 信 믿을 신 )
자원오행을 쓰는 이유는 그 사람의 사주에서 부족하거나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특정한 음양오행의 기운을 이름에 집어넣음으로써 그 사람의 인생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획수, 자원오행; 한자 뜻 발음 1, 木 ; 乙 새 을 1, 木 ; 一 한 일
2, 木 ; 二 두 이 2, 木 ; 儿 어진 사람 인, 아이 아, 다시 난 이 예
2, 木 ; 入 들 입
2, 火 ; 卜 점 복/무 복, 짐바리 짐 2, 火 ; 人 사람 인 2, 火 ; 丁 고무래 정/장정 정
2, 土 ; 冂 멀 경 2, 土 ; 力 힘 력(역)
2, 金 ; 乃 이에 내, 노 젓는 소리 애 2, 金 ; 刀 칼 도 2, 金 ; 了 마칠 료(요)/밝을 료(요) 2, 金 ; 匕 비수 비 2, 金 ; 乂 벨 예, 징계할 애
2, 水 ; 又 또 우
|
획수, 자원오행; 한자 뜻 발음 3, 木 ; 干 방패 간/줄기 간, 마를 건, 들개 안, 일꾼 한 3, 木 ; 巾 수건 건 3, 木 ; 大 클 대/큰 대, 클 태, 클 다 3, 木 ; 万 일만 만 3, 木 ; 士 선비 사 3, 木 ; 上 윗 상 3, 木 ; 兀 우뚝할 올 3, 木 ; 卄 스물 입 3, 木 ; 丈 어른 장 3, 木 ; 才 재주 재
3, 火 ; 工 장인 공 3, 火 ; 弓 활 궁 3, 火 ; 三 석 삼 3, 火 ; 已 이미 이
3, 土 ; 己 몸 기 3, 土 ; 女 여자 녀(여) 3, 土 ; 巳 뱀 사 3, 土 ; 山 뫼 산 3, 土 ; 寸 마디 촌 3, 土 ; 土 흙 토, 뿌리 두, 쓰레기 차 3, 土 ; 丸 둥글 환
3, 金 ; 久 오랠 구 3, 金 ; 刃 칼날 인 3, 金 ; 勺 구기 작
3, 水 ; 口 입 구 3, 水 ; 亡 망할 망, 없을 무 3, 水 ; 凡 무릇 범 3, 水 ; 夕 저녁 석, 한 움큼 사 3, 水 ; 小 작을 소 3, 水 ; 尸 주검 시 3, 水 ; 也 잇기 야/어조사 야, 잇달을 이 3, 水 ; 于 어조사 우, 어조사 어 3, 水 ; 子 아들 자 3, 水 ; 叉 갈래 차/작살 차 3, 水 ; 川 내 천 3, 水 ; 千 일천 천/밭두둑 천/그네 천 3, 水 ; 下 아래 하 3, 水 ; 孑 외로울 혈 |
'작명 > 인명용 한자(획수별 정리+자원오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혜가철학원 | 창원마산진해철학관 | 인명용 한자(8획) | 작명 | 자원오행 (0) | 2020.02.13 |
---|---|
혜가철학원 | 창원마산진해철학관 | 인명용 한자(7획) | 작명 | 자원오행 (0) | 2020.02.13 |
혜가철학원 | 창원마산진해철학관 | 인명용 한자(6획) | 작명 | 자원오행 (0) | 2020.02.13 |
혜가철학원 | 창원마산진해철학관 | 인명용 한자(5획) | 작명 | 자원오행 (0) | 2020.02.13 |
혜가철학원 | 창원마산진해철학관 | 인명용한자(4획) | 작명 | 자원오행 (0) | 2020.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