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5劃 姓
甘(감) : 달다, 맛이 있다, 상쾌하다 巨(거) : 크다, 많다, 거칠다 功(공) : 공, 공로, 일, 직무 瓜(과) : 오이 丘(구) : 언덕, 무덤, 모으다 白(백) : 희다, 날이 새다 北(북) : 북녘, 달아나다 丕(비) : 으뜸, 크다, 받들다 冰(빙) : 얼음 (氷의본자) 史(사) : 역사, 기록된 문서 司(사) : 맡다, 벼슬, 관리 石(석) : 돌, 비석 召(소) : 부르다, 어떤 결과를 가져오게 하다 申(신) : 펴다, 아홉째지지 永(영) : 길다, 멀다 令(령) : 우두머리, 하여금 玉(옥) : 구슬, 아끼고 소중히 하다 田(전) ; 밭, 심다 占(점) : 점치다, 지키다, 수호하다 左(좌) : 왼, 그르다, 어긋나다 只(지) : 다만, 뿐, 어조사 冊(책) : 책, 칙서 ,권 台(태) : 별, 기뻐하다, 기르다 平(평) : 평평하다, 다스리다, 바로잡다 包(포) : 싸다, 꾸러미 皮(피) : 가죽, 껍질 玄(현) : 검다, 하늘빛, 그윽하다 弘(홍) : 넓다, 널리 禾(화) : 벼, 곡물 乙支(을지) : 복자성씨 |
※획수계산방식에 있어서 다수론과 소수론+원형이정+삼원오행을 모두 만족시키는 획수들입니다.
소수론과 삼원오행을 제외하면 더 많은 획수들이 가능하고,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소수론과 삼원오행에 대해서는 의구점을 제기하기도 합니다.
姓 획수 |
이름 첫자 획수 |
이름 끝자 획수 |
사격(四格) |
삼원오행 |
길흉 |
|||
원 (초년) |
형 (중년) |
이 (말년) |
정 (총운) |
|||||
5 |
1 |
2 |
3 |
6 |
7 |
8 |
土土火563 |
O |
5 |
1 |
12 |
13 |
6 |
17 |
18 |
土土火563 |
O |
5 |
2 |
6 |
8 |
7 |
11 |
13 |
土金金578 |
O |
5 |
2 |
16 |
18 |
7 |
21 |
23 |
土金金578 |
O |
5 |
3 |
13 |
16 |
8 |
18 |
21 |
土金土586 |
O |
5 |
8 |
3 |
11 |
13 |
8 |
16 |
土火木531 |
O |
5 |
8 |
8 |
16 |
13 |
13 |
21 |
土火土536 |
O |
5 |
8 |
16 |
24 |
13 |
21 |
29 |
土火火534 |
O |
5 |
8 |
24 |
32 |
13 |
29 |
37 |
土火木532 |
O |
5 |
10 |
3 |
13 |
15 |
8 |
18 |
土土火553 |
O |
5 |
10 |
8 |
18 |
15 |
13 |
23 |
土土金558 |
O |
5 |
11 |
2 |
13 |
16 |
7 |
18 |
土土火563 |
O |
5 |
12 |
6 |
18 |
17 |
11 |
23 |
土金金578 |
O |
5 |
13 |
3 |
16 |
18 |
8 |
21 |
土金土586 |
O |
5 |
18 |
6 |
24 |
23 |
11 |
29 |
土火火534 |
O |
5 |
20 |
13 |
33 |
25 |
18 |
38 |
土土火553 |
O |
'작명 > 성씨의 획수에 따른 사용가능한 획수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혜가철학원 | 창원마산진해철학관 | 7획 성(姓) | 작명 (0) | 2020.02.12 |
---|---|
혜가철학원 | 창원마산진해철학관 | 6획 성(姓) | 작명 (0) | 2020.02.12 |
혜가철학원 | 창원마산진해철학관 | 4획 성(姓) | 작명 (0) | 2020.02.12 |
혜가철학원 | 창원마산진해철학관 | 3획 성(姓) | 작명 (0) | 2020.02.12 |
혜가철학원 | 창원마산진해철학관 | 2획 성(姓) | 작명 (0) | 2020.02.12 |